2025년 7월부터 각 은행들의 예적금 금리와 대출 금리가 변동되고 있습니다. 1금융권, 2금융권, 그리고 저축은행은 금리 차이가 존재하지만, 고객의 상황에 따라 더 유리한 조건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요 은행들의 예적금과 대출 금리를 비교하고, 저축은행의 금리까지 추가하여 모든 금융 상품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주요 1금융권 은행별 예적금 금리
1) KB국민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3.50% ~ 3.8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00% ~ 3.40%
- 상호부금: 3.20% ~ 3.50%
2) 신한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3.60% ~ 4.0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10% ~ 3.50%
- 상호부금: 3.30% ~ 3.60%
3) 하나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3.40% ~ 3.8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20% ~ 3.50%
- 상호부금: 3.10% ~ 3.40%
4) 우리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3.50% ~ 3.8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00% ~ 3.30%
- 상호부금: 3.10% ~ 3.50%
2. 주요 1금융권 은행별 대출 금리
1) KB국민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3.80% ~ 4.20%
- 신용대출: 연 4.50% ~ 5.30%
- 자동차대출: 연 4.00% ~ 5.00%
2) 신한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3.70% ~ 4.10%
- 신용대출: 연 4.40% ~ 5.20%
- 자동차대출: 연 3.90% ~ 4.90%
3) 하나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3.80% ~ 4.30%
- 신용대출: 연 4.60% ~ 5.40%
- 자동차대출: 연 4.20% ~ 5.10%
4) 우리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3.80% ~ 4.20%
- 신용대출: 연 4.50% ~ 5.40%
- 자동차대출: 연 4.10% ~ 5.00%
3. 주요 2금융권 은행별 예적금 금리
1) 카카오뱅크 (2금융권)
- 정기예금: 1년 기준 3.90% ~ 4.3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50% ~ 3.90%
- 상호부금: 3.30% ~ 3.80%
2) 제주은행 (2금융권)
- 정기예금: 1년 기준 4.00% ~ 4.5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80% ~ 4.10%
- 상호부금: 3.60% ~ 4.00%
3) 농협은행 (2금융권)
- 정기예금: 1년 기준 4.10% ~ 4.4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80% ~ 4.00%
- 상호부금: 3.70% ~ 4.10%
4) 서울보증보험 (2금융권)
- 정기예금: 1년 기준 4.20% ~ 4.6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3.90% ~ 4.20%
- 상호부금: 3.70% ~ 4.10%
4. 주요 2금융권 은행별 대출 금리
1) 카카오뱅크
- 주택담보대출: 연 4.20% ~ 4.70%
- 신용대출: 연 4.80% ~ 5.50%
- 자동차대출: 연 4.50% ~ 5.10%
2) 제주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4.10% ~ 4.50%
- 신용대출: 연 5.00% ~ 5.80%
- 자동차대출: 연 4.60% ~ 5.20%
3) 농협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4.00% ~ 4.40%
- 신용대출: 연 4.70% ~ 5.50%
- 자동차대출: 연 4.30% ~ 5.00%
4) 서울보증보험
- 주택담보대출: 연 4.30% ~ 4.70%
- 신용대출: 연 5.20% ~ 6.00%
- 자동차대출: 연 4.60% ~ 5.30%
5. 주요 저축은행별 예적금 금리
저축은행은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고, 예금 상품에 대한 유연성도 다양합니다. 다만, 저축은행은 금융 안정성에 있어 1금융권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 웰컴저축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4.50% ~ 5.0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4.20% ~ 4.70%
- 상호부금: 4.00% ~ 4.50%
웰컴저축은행은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제공하며,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활용한 편리한 접근성이 장점입니다.
2) OK저축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4.60% ~ 5.1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4.30% ~ 4.80%
- 상호부금: 4.10% ~ 4.60%
OK저축은행은 금리가 높고, 다양한 예적금 상품을 제공하여 고객 맞춤형 선택이 가능합니다.
3) SBI저축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4.40% ~ 4.9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4.10% ~ 4.60%
- 상호부금: 4.00% ~ 4.50%
SBI저축은행은 예금 금리가 높은 편이며, 특히 적립식 예금 상품에서 경쟁력이 있습니다.
4) 한성저축은행
- 정기예금: 1년 기준 4.50% ~ 5.00%
- 적립식예금: 1년 기준 4.20% ~ 4.70%
- 상호부금: 4.00% ~ 4.50%
한성저축은행은 금리가 매우 경쟁력 있고, 금리 변동성이 크지 않아 안정적인 선택이 가능합니다.
6. 주요 저축은행별 대출 금리
저축은행 대출 금리는 대체로 1금융권보다 높은 편이며, 신용대출이나 소액대출에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웰컴저축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4.80% ~ 5.20%
- 신용대출: 연 5.50% ~ 6.50%
- 자동차대출: 연 5.00% ~ 5.80%
2) OK저축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4.90% ~ 5.30%
- 신용대출: 연 5.60% ~ 6.50%
- 자동차대출: 연 5.10% ~ 5.90%
3) SBI저축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4.70% ~ 5.10%
- 신용대출: 연 5.40% ~ 6.30%
- 자동차대출: 연 5.00% ~ 5.80%
4) 한성저축은행
- 주택담보대출: 연 4.80% ~ 5.30%
- 신용대출: 연 5.50% ~ 6.40%
- 자동차대출: 연 5.10% ~ 5.90%
7. 금리 비교와 결론
- 예적금: 저축은행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1금융권의 안정성과 비교했을 때 위험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2금융권도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출: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는 1금융권보다 높지만, 대출 한도나 조건이 유리한 점도 있어 소액 대출이나 신용 대출에서는 고려할 만합니다.
마무리
1금융권, 2금융권, 저축은행의 금리 차이는 분명 존재하며, 각 금융기관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적금과 대출 상품은 각자의 금융 상황에 맞춰 선택해야 하며, 금리 외에도 조건이나 서비스의 차이를 비교해야 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부터 월급 줄어든다? 국민연금 인상!! (0) | 2025.07.01 |
---|---|
2025년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부동산 대출 규제 상세 정리 및 시장 영향 분석(LTV·DTI 용어설명 포함) (0) | 2025.06.27 |
올해 지역화폐 할인 역대급… 최대 15% 돌려받는 꿀팁 (2) | 2025.06.26 |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GENIUS) 미국 상원 통과! 호재인가 악재인가 향후 코인 방향은? (0) | 2025.06.18 |
국내 공항 탑승 소요시간, 네이버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1)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