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 2025. 6. 18. 16:16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GENIUS) 미국 상원 통과! 호재인가 악재인가 향후 코인 방향은?

반응형

 

 

🧩 GENIUS 법안이란 무엇인가?

  1.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연방 규제 체계 구축
    • 달러 등 안전자산으로 100% 담보(backed) 하고, 월간 준비금 구성 공개를 의무화.
    • 순환성, 유동성, 금리 리스크 관리 등 은행 수준의 안전장치를 마련 .
  2. 규제주체와 권한
    • OCC, 연준, FDIC, NCUA 등 연방 규제기관이 건전성 검사.
    • 비은행사도 OCC 통해 연방 운용 비은행 발행업체(federal qualified nonbank) 자격 획득 가능.
    • $10 B 미만 발행사는 주(州) 규제 선택 가능, 그 이상은 연방 규제 .
  3. 소비자·AML 보호
    • 자금세탁방지(BSA/AML) 준수를 의무화하고, 월간 공시 등 투명성 강화.
    • 규모·복잡도에 따라 검열 강화 및 제재권 강화 조항 포함 .
  4. 기업 및 대형 테크 요구 충족
    • Amazon·Walmart처럼 대형 비금융 기업은 자체 발행에 제약이 생기며, 주로 규제된 발행사와 협력해야 한다는 구조가 설계됨 .

✅ 통과 현황 요약

  • 상원 통과: 68‑30, 초당적 합의
  • 이제 하원으로 이동, 공화당 우세 하원에서 수정안 첨부 가능성 존재 .
  • 최종 통과 시 트럼프 대통령 서명 대기, 목표는 8월 중 통과 .

🔍 시장에 미칠 영향 5가지

  1. 시장 안정성과 신뢰성 향상
    • 준비금 공개, 투명성, AML 강화로 후폭풍 리스크 감소.
    • 특히 USDC, USDT 같은 주류 코인 신뢰도 상승 기대.
  2. 기존 금융기관의 시장 진입
    • BoA, Morgan Stanley 등 대형 은행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준비 .
    • 기업들(Walmart, Amazon)은 규제된 파트너와 협업 또는 내부 발행 고려.
  3. 규제 비확실성 해소→산업 성장 기대
    • 기업·투자자는 불확실성 감소로 안정적 투자 및 인프라 확대 의사 증가.
    • Bernstein 등 보고서 “인터넷의 결제 기반으로 자리잡을 것” 전망도.
  4. 소형 은행·비은행사에 대한 영향
    • 준비금 요구, 리스크 규제 강화로 운영 부담 증가.
    • 반면 대형은행은 인프라 및 경제 규모 확대의 기회.
  5. 정치·사회적 논쟁 지속
    • 대통령·가족 대상 규제 제외에 대한 이해충돌 논란, 일부 민주·진보진영 우려 계속.
    • “Big Tech 주도·국부 리스크·관치 논란” 등 공방 심화 .

📝 전망과 예측

관점기대 효과우려 요인
긍정적 제도권 편입 → 보급 빠름<br>글로벌 금융경쟁력 강화<br>전자결제 혁신 촉진 준비금 유동성 위험, 비은행사 부담<br>은행 리스크 이관 가능
부정적 비금융기업 주도권 통제 강화<br>소형·비은행사 도태 가능 강조된 “세금없는 구조조정"(bailout) 논란 위험
모호·혼재 일단은 투명성과 신뢰도 상승
정치·입법 리스크 여전
하원 수정 시 불확실성 증폭
트럼프 자산 관련 논란 가능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